Wisdom Stems from Right View
Paragraph 19.2.1
⚫ 바른 견해와 선善
요즘 사람들은 백화점이나 할인점에 가서 물건을 척척 담고 카드로 쓱 긁고 자가용에 턱 싣고 돌아옵니다. 이러한 생활양식도 기실은 어떤 견해가 밑바탕에 깔려있습니다. 우리의 모든 행동은 무의식적이라 할지언정 반드시 어떤 견해가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불교에서 보면 본능적 행태마저도 업業에서 나옵니다. 업은 의도적 행위인데, 어떤 업도 견해 없이 지어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엄밀한 의미에서 견해 없이 나오는 행동은 없습니다. 그 견해가 나에게도 이롭고 남에게도 이로운 선한 행위 또는 나에게도 해롭고 남에게도 해로운 불선한 행위를 결정합니다. 그만큼 견해가 우리의 삶을 규정한다는 점에서 엄청나게 중요합니다.
⚫ Right View and Goodness
When people today go to the department stores or convenient stores, they buy things with their credit cards and carry them back home in their cars. In this mode of life lies a certain view. There is a certain view in whatever we do, albeit unconsciously. In Buddhist perspective, even the instinctive behaviors stem from karma. Karma is an conscious action; no karma can be made without a view. Therefore, to be precise, no action can be taken without a view. That view determines whether an action is a good deed, beneficial both for myself and others, or a bad deed, harmful both to myself and others. As such, view is tremendously important as it determines our lives.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2
부처님 가르침인 법은 윤리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그 윤리의 기초는 바른 견해입니다. 바른 견해는 법에 대한 바른 이해에서 시작합니다. 법 자체가 부처님이 세상을 보시는 견해입니다. 우리는 바른 견해를 먼저 세우고, 하루하루 살면서 그날그날 할 일을 정할 때에도 바른 견해에 입각해서 행동을 예정해야 합니다. 하루의 삶도 그렇고 인생 전체도 그렇습니다. 견해가 올바른 것이어야 우리가 걸어야 할 팔정도 수행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The Buddha's teachings are founded on ethics, and the basis of ethics is right view. Right view begins with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Dhamma. The Dhamma itself is the Buddha's view of the world. We should establish right view. When we make our daily plans, we should decide our activities based on right view. Our daily life as well as our entire lifetimes should be likewise. We should have right view; only by then could we fulfill the practice of the Noble Eightfold Path on which we walk.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3
그런데 사성제를 아직 제대로 알지 못하는 단계에서는 경에 나오는 부처님 말씀에 의지해서 자신의 견해를 세우려고 노력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게 하여 바른 견해가 세워지기 시작하면 우리 삶에서 어떤 변화가 생길까요?
먼저 우리가 따르고 있는 배금주의, 가족, 혈연, 국가중심주의 등 집단이기주의나, 선善 악惡으로 구분하는 통상적인 가치관까지 어느 것도 자기 스스로 세웠거나 책임질 수 있는 견해는 별로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대부분의 견해는 남으로부터 배웠거나 남을 모방하는 과정에서 자기 것으로 삼아 온 것입니다. 바로 그런 견해는 남의 견해입니다. 우리는 원천적으로 오염된 견해들에 의해서 타율적으로 배양되어온 피해자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Without fully understanding the Four Noble Truths, we should make efforts to establish our own views by relying on the Buddha's words in the Sutta. When we begin to establish right view, what changes would it bring to our lives?
First of all, we realize that we have not established or been responsible for conventional values such as mammonism, collective egoism rooted in the family, tribe, or the state, and even the distinctions between good and evil. Most of our views have been taken from others, and we have regarded them as our own in the process of emulating others. Such views are not ours but others'. We have been passively nurtured by polluted views, and, thereby, victimized.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4
그러한 우리가 바른 견해를 생각해 본다는 것은 대단히 힘겨운 일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가지고 있는 개념들 하나하나를 전부 정밀분석하고 분해하고 소제해내야 합니다. 그러다 보면 우리가 대단히 엉뚱하게 전도된 견해에 태연히 안주하고 있을 뿐 아니라 오히려 확신하고 있고, 심지어는 주변 사람들에게도 강요하고, 자식들에게도 가르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할 것입니다. 얼마나 끔찍한 일입니까. 우리 스스로가 그릇된 견해의 피해자라면, 우리는 그 견해를 고치기 위해서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마땅할 것입니다.
It is tremendously difficult for us even to think of right view. However, we should analyze all concepts we harbor and distill them through close examination. When we do so, we will find that we have become complacent about misguided views, that we confirm those views, and that we force them on others, and teach our kids with those views. How terrible! If we are the victims of misguided views, we should do our best to rectify those views.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5
거듭 말하거니와 부처님이 바른 견해를 팔정도의 첫머리에 두신 것은 그만큼 바른 견해의 중요성을 강조하신 겁니다. 견해가 틀렸는데 그 다음 노력이 진행된다면, 오히려 그릇된 견해로 더 중무장하게 되고, 따라서 돌이킬 수 없는 완고한 고집쟁이나 미신쟁이로 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것 참 심각한 이야기입니다.
Let me repeat this point: the reason why the Buddha placed right view foremost in the Noble Eightfold Path in order to emphasize its significance. When our view is wrong, if we take a farther step, we should reinforce a wrong view to the extent of becoming irreversibly bigoted or superstitious. This is all too serious a story.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6
지금 우리는 어떤 가치관 속에 살고 있습니까? 맹목적으로 많이 소유하려 하고, 많이 소비하려 하고, 행복이라는 이름으로 자신의 감각을 마비시키면서 쾌락을 구가하는 삶을 살고 있지나 않습니까? 그렇다면 우리는 마땅히 자신의 견해를 점검하는 노력을 서둘러야 합니다. 그리하면 우리가 추구해온 많은 것이 참 행복이 아니고, 오히려 불행을 낳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In what value system do we live in today? Do we not blindly crave more, consume more, and seek pleasure to the extent of paralyzing our senses in the name of happiness? If so, we should make efforts to examine our own views. By doing so, we will see for ourselves that many things we have pursued so far can yield unhappiness instead of happiness.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7
바른 견해의 기틀은 선善입니다. 경에 보면 어떤 왕이 아난다 존자에게 묻습니다. ‘선, 선 하는데 선은 무엇입니까?’ 아난다 존자가 이전에 부처님께 들었던 대로 대답합니다. ‘선이라는 것은 자신에게 이롭고 남에게도 이로운 것입니다.’
The basis of right view is goodness. In the Sutta we are told that a king asked Ananda. "People speak of goodness, but what really is being good?" Ananda replies as he has once heard from the Buddha: "being good is that which is beneficial for oneself and for others."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8
그 왕이 다시 질문을 합니다. ‘이롭다, 이롭다 하시는데, 이롭다는 것은 무슨 뜻입니까?’ 아난다 존자는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이 이로운 것’이라고 대답합니다.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이 이로움이고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은 이로움이 아니다.’1 향상이란 두말할 것도 없이 정신적 향상입니다. 지혜를 향해서 한걸음이라도 더 다가가는 것이 향상입니다. 이 점을 여러분들이 깊이 음미해 보십시오.
The king asks further: "you speak of benefit, but what is being beneficial?" Ananda replies: "that which is conducive to self-improvement is beneficial." In the Bāhitika Sutta, it is said: "that which is conducive to self-improvement is beneficial, and that which is not is not." Self-improvement is undoubtedly spiritual improvement. To take a step closer to wisdom is improvement. Let us think deeply about this point.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9
그런데 지혜를 키우려면 선입견이나 편견인 지식들을 털어내야 합니다. 선입견과 편견으로 오염돼 있을 경우, 지혜로 그것들을 털어내는 방향으로 자신을 변혁해 나가는 과정이 바로 향상입니다. 이러한 향상에 도움이 되는 지혜는 오직 바른 견해로부터 나옵니다.
In order to nurture wisdom, we should get rid of preconceptions and biases. When we are polluted with preconceptions and biases, we should clean them through the medium of wisdom and rectify ourselves: that is the process of improvement. Wisdom which is conducive to self-improvement only stems from right view.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10
바른 견해는 선善, 즉 향상에 도움이 되는가, 아닌가 하는 것을 기준으로 삼습니다. 해탈·열반을 우리에게 가르치는 게 법인데, 열반을 향해서 나아가는 데 도움 되는 요소가 선법善法입니다. 선법을 이해하여 그것으로 바른 견해를 갖추려 노력할 때, 팔정도를 바르게 걷기 시작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Right view sees whether or not something is conducive to self-improvement. The Dhamma teaches us nibbana and the Enlightenment. Those elements which help us come approach toward the nibbana are the Good Dhamma. When we make efforts to have right view by understanding the Good Dhamma, we can say that we walk on the Noble Eightfold Path.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11
⚫ 유신견 벗어나기
우리는 바른 견해를 각자의 삶에서부터 세울 필요가 있습니다. 아주 비근하게 내 일상생활 속에서 작동하는 견해부터 바르게 정립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나, 가정, 국가, 세계에 대한 견해를 바르게 세우는 데서 시작합니다. 부처님 법을 따라 바른 견해를 세우는 길에서는 누구나 ‘나는 유치원생이다’ 하는 겸허하고도 진솔한 태도가 우선되어야 합니다.
⚫ Overcome the view that our bodies exist
We should establish right view in our lives. We should try to set aright the views that inform the mundane activities of our lives. We should begin with our views concerning myself, the family, the state, and the world. When we try to establish right view in accord with the Buddha's Dhamma, we should begin with the humble and honest recognition that "I am no more than a Kindergartener."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12
우선 나 자신에 대해서는 어떤 견해를 가질 것인가? 보통 우리는 자기 자신에 대해서 완고한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나’라는 고정관념을 가지는 한, 한 걸음도 향상하기 어렵습니다. ‘나’라는 관념은 바깥에 의존하여 생기는 것입니다. 내 몸뚱이가 있으니까 내가 있다든가, 남편, 아내로서 내가 있다든가, 부모, 자식으로서 내가 있다고 자기를 확인하는 것은 타인과의 관계에 입각해서 자기를 인식하는 태도입니다. 그것은 가장 소극적이고 나태한 자기 정립 방법입니다.
How am I to view myself? In general, we have a stubbornly fixed idea about ourselves. When we hold on to the fixed idea of "the self," we cannot take a step farther. The fixed idea of the self stems from our reliance on the external things. It is the attitude we take when we perceive ourselves in relations to the others: the idea that I exist because my body exists, or the idea that I exist in relation to my spouse, parents, children, etc. This is a passive and indolent way of establishing the self.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13
세상 모든 현상이 법인데, 그런 의미에서 ‘나’라는 것도 현상이고 법입니다. 《법구경》 제일 게송에 ‘모든 법에는 의意mano가 선행한다’2고 나옵니다. 모든 현상에는 의, 즉 마음이 선행한다는 것입니다.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입니다. 결국 ‘나’라는 것도 나 자신의 업이 만들어가는 겁니다. ‘나’뿐만 아니라 모든 현상이 그렇습니다. 이처럼 나와 모든 중생을 업으로 보기 시작할 때, 바른 견해의 기초를 쌓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All the phenomena in the world are the Dhamma. In this perspective, I, myself, am a part of the phenomena or the Dhamma. The first statement in the Dhammapada is: "Phenomena are preceded by the heart, ruled by the heart, made of the heart.3 This statement means that the mind precedes all the phenomena. All things in the world are mind-wrought. In fact, "I" am the product of my own karma. Not only "I", but all the other phenomena are like this. When we look at the myriad beings from the perspective of karma, we lay the foundation for right view.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14
여기 업을 짓고 있는 ‘나’라는 하나의 업 덩어리, 업체가 있습니다. 이건 주체가 아닙니다. 연기법으로 보면 주체가 아니라, 하나의 경향성, 성향일 뿐입니다. 업이 어떤 자극에 대해서 특수한 굴절 과정을 거쳐 어떤 반응을 나타내는 성향이 있다는 겁니다. 그걸 아만으로 ‘내 마음’이니 ‘내 생각’이니 하고 표현하고 있는 겁니다. ‘여기 분명히 보이고 만져지는 살덩어리, 하나의 정신-육체 단위체가 있으니, 이것이 나다’라고 하는 견해를 불교에서는 유신견有身見이라 합니다.
Here I am, making karma: I am a chunk of karma or the embodiment of karma. This is not the subject. In the light of the Law of Dependent Origination, it is just a tendency or disposition. When stimulated, karma shows itself as a disposition through a specific process of distortion. Because of self-conceit, we call it "my mind" or "my thought." Here is the unified entity of the mind and the body, the obviously visible and tangible ball of fat, and we consider that "it is me." In Buddhism, such opinion is called: "the view that the body exists."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15
이렇게 유신견이 있으면 나와 남을 구별 짓게 됩니다. 내가 소중하다고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고, 내가 행복하고 편안해야 하므로 심지어 남을 희생시켜도 되겠다는 논리도 나옵니다. 그런 경쟁논리의 바탕에는 유신견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내가 있다’는 유신견에 의해 구조적 갈등관계가 끊임없이 형성됩니다. 그렇기에 부처님은 세상을 ‘고해苦海’라 하셨습니다. 구조적이고 원천적인 갈등관계라는 뜻입니다. 고해를 연출하는 것은 바로 ‘나’라는 존재에 대한 집착입니다. 이러한 유신견은 우리를 윤회에 묶는 열 가지 족쇄4 중 첫 번째입니다. 유신견을 벗어나는 것이 바른 견해가 이루어내는 첫 번째 성과입니다.
Because we hold on to the belief in a self, we differentiate ourselves from others. I consider myself so precious in a highly self-centered way, and develop a rationale that it should be okay to sacrifice others for the sake of my happiness and comfort. Underneath the logic of competition lies belief in a self. Because of the view that the body exists, the structure of relational conflicts are constantly generated. For this reason, the Buddha called this world the ocean of sufferings. It is structurally conflictual at the fundamental level. The source of suffering is attachment to belief in a self. The view that the body exists is the first of the ten fetters.5 To overcome the belief in a self exist is what right view can achieve in the first place.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16
유신견을 벗어나는 것은 하나의 족쇄로부터 벗어나는 것입니다. 해탈이란 뭔가? 해탈이란 말은 요즘 말로하면 해방, 벗어남입니다. 불교의 목표로 보면 무지로부터 해방되고, 탐·진·치貪瞋癡 삼독심三毒心으로부터 해방되고, 열 가지 족쇄로부터 해방되는 것입니다. 열 가지 족쇄로부터 다 해방되면 완전한 해방이고, 족쇄 하나라도 벗어나면 그것도 하나의 해방입니다. 그러니까 우리는 하나하나 해방해 나가면 되고, 바로 그러기 위해서 공부를 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공부 목표에 대한 바른 견해라 할 수 있습니다.
To overcome the belief in a self is to become unfettered. What is nibbana? It means in our words today is to liberate oneself. The goal of Buddhism is to be liberated from ignorance, from the three poisons (unwholesome minds), namely, greed, anger, and ignorance, and from the ten fetters. When we are liberated from the ten fetters, it would be the completion of liberation. When we overcome just one fetter, it could also be a liberation. We should liberate ourselves from those fetters step by step. For such purpose, we strive to improve ourselves: this should be the right view of self-improvement.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17
⚫ 무상 속에 고를 보다
세상이 요즈음 대단히 풍요로워졌지요. 그런데 굶주림으로부터 해방되었지만 진정한 풍요와 행복을 누리고 있는가? 오히려 더 헐떡거리는 것 같습니다. 먹어댄 만큼 많이 쌓인 힘이 자기와 남을 파괴하는 데 쓰이고 있다는 인상마저 받게 됩니다.
사바세계에서의 해방이란 낡은 문제의 매듭지음이면서 동시에 새로운 문제의 출발입니다. 그 때문에 끊임없는 고해를 연출하고 있는 것입니다. 진정한 해방은 없고, 그저 낡은 문제를 하나 매듭짓고 새로운 문제를 시작하는 게 사바세계의 해방입니다. 이러한 변화가 연속되는데 제행무상諸行無常의 법을 깨닫지 못한다면 우리 공부에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고해와 무상이 그대로 펼쳐지는 광경을 직접 겪으며 살고 있습니다. 어제의 승자가 바로 오늘 패자가 되기도 하지요. 그 무상을 우리가 다 보고 있습니다. 이렇듯 우리는 무상 속에 파묻혀 고를 살고 있습니다. 무상 속에 고苦가 도사리고 있다는 사실을 똑바로 아는 것은 바른 견해로 세상을 보는 지혜입니다.
⚫ To view suffering in the state of unthinking
The world has become so affluent. Although we no longer starve, are we really enjoying affluence and happiness in the true sense of the term? I think we are being suffocated all the more. I receive the impression that we tend to use the surplus power to destruct ourselves and others.
In the saha world, liberation is the cessation of old problems and the beginning of new problems. For this reason, the interminable ocean of suffering unfolds. There is no true liberation since liberation in the saha world is no more than getting over with one old problem and beginning with a new one. Despite the fact that such changes continue, if we do not realize the dhamma that all phenomena are impermanent, there must be problems in our study. We live in this world directly experiencing the ocean of suffering and impermanence. The victor of the past can become the loser of the present. We all see how impermanent things are. We are immersed in the state of impermanence and live the lives of suffering. To understand correctly that suffering is lurking in the impermanence of things is to obtain the wisdom of seeing the world with right view.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18
그런데 여러분은 고苦를 어떻게 대하고 있습니까? ‘남들은 고해를 겪을지언정 나만은 예외가 되었으면……’ 하거나, ‘이 사바세계에서 살아도 고를 모르고 살고 싶어.’ 이렇게 바라고 산다면 그것은 앙탈입니다. 부처님이 이 세상을 고해라고 규정하셨듯이 누구나 예외 없이 생·노·병·사生老病死, 수·비·고·우·뇌愁悲苦懮惱를 겪으며 살 수밖에 없지 않습니까. 모습은 달라도 어떤 형태로든 누구나 겪는 고인데, 나 혼자 앙탈을 부리며 외면하면 어쩌자는 겁니까?
Then how do you cope with sufferings in the world? If you think that you'd be an exception when all the other people are suffering or if you wish to live without knowing suffering in this saha world, it would be a foolhardy attempt. As the Buddha defined the world as the ocean of suffering, nobody can be free from the pains of birth, aging, ailing and dying as well as worry, sorrow, pain, despair, and apprehension. Everyone should experience suffering in one way or another; how absurd it would be to blind ourselves to the fact of suffering?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19
여러분, 우리가 과거 생에 진작 해탈을 못 했기 때문에 여전히 가지고 있는 탐·진·치貪瞋癡로 인해 금생에 또 몸을 받아서 이 고해에 살고 있다는 사실을 바로 알아야 합니다. 누구나 겪는 고苦인데도 나만은 행복하기를 바라니까 이 세상이 못마땅하고 억울하고 한스럽기 짝이 없는 것 아닙니까. 우리는 숱한 교훈으로 넘치는 세상을 살면서도, 이 변화무쌍한 삶의 현장이 주는 엄숙한 교훈들을 거부하고 있습니다.
제행무상諸行無常, 일체개고一切皆苦의 진실을 보지 않고 외면하고 기피하려고 몸부림치는 겁니다. 기어이 바른 견해로 보지 않으려고 몸부림치고 사는 모습이 우리의 일상생활입니다. 법문을 들을 때는 ‘바른 견해를 갖추어야겠다’ 하면서도 일상생활에서는 바른 견해를 외면하려고 그렇게 필사적으로 애쓰고 있으니 참 모순입니다. 스스로 그 모순을 볼 줄 모르니 괴롭고 갈등이 생기는 겁니다.
Everyone, we are here because we have not been able to achieve nibbana in our previous lives. We should know that we live in the ocean of sufferings with our bodies because of the three poisons of the mind, greed, anger, and ignorance. We wish we could be exceptionally happy although everyone suffers: for this reason, this world is full of complaints, grievances, and lamentations. We live in the world that offers countless lessons; however, we refuse to take solemn lessons offered by this kaleidoscopic field of life. We are writhing to avoid confronting the truths that all things are in constant flux and all is suffering. Our daily life is a struggle to avoid looking at the realities in right view. When we listen to a dhamma talk, we make our minds to embody right view, but we try desperately to avoid right view in our daily life: this is an odd contradiction. Because we cannot see the contradiction with our own eyes, we suffer and struggle.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20
중생의 모습이 원래 그러합니다. 사람이 있는 게 아니라 탐·진·치 업 덩어리가 있는 겁니다. 중생의 삶이란 그 탐·진·치 성향이 펼쳐지는 연기緣起의 과정일 뿐입니다. 나 자신을 그렇게 보는 것이 일상에서 바른 견해를 갖추어 실천하는 또 하나의 과정이 되겠습니다.
The myriad beings have always been like this. In reality, a human being is no more than a chunk of karma, greed, anger, and ignorance. The lives of the myriad beings are the process of dependent origination in which greed, anger, and ignorance unfold. To view ourselves in this perspective can be an important step we should take to practice right view in daily life.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21
바른 견해로 일체가 고라는 이치를 받아들이면 의외로 거기에서 평안이 오고, 진정한 용기와 자신감이 생기고, 삶의 어떠한 고난도 두려워하지 않고 맞대면할 여유가 생겨납니다. 그리하여 팔정도에서 바른 견해가 얼마나 자비로운 말씀인지 터득할 것입니다. 바른 견해가 조금 터득되어서 자리가 잡히면, 팔정도의 나머지 항목은 술술 자동적으로 풀려나기 시작합니다. 바른 사유[正思], 바른 말[正語], 바른 행위[正業], 바른 생계[正命]가 내 삶에서 펼쳐지기 시작합니다.
When we accept the truth that all is suffering, we would unexpectedly become peaceful, truly brave and confident; we would be relaxed and reassured to confront the hardships of life without fear. Finally, we would learn how benevolent it is that the Buddha taught right view in the Eightfold Noble Path. When we learn to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right view, the rest of the Eightfold Noble Path should all automatically become self-evident. Right thought, right speech, right action, and right livelihood would unfold in our lives.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22
바른 견해로 세상을 받아들이는 여유가 생기면, 내 요구대로 안 한다고 남을 비난하는 마음이 스르르 가라앉습니다. ‘나도 내 맘대로 안 되는데, 저 사람인들 자기 마음대로 되겠나? 하물며 그 사람이 내 마음대로 되겠나?’ 그러면서 남에게 요구하는 삶이 얼마나 어리석은지를 돌아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요구하기를 멈추고 이해하는 입장이 됩니다. 내가 상대방의 입장에 서서 그 상대방을 생각하거나 나를 돌아보는 자세를 갖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바른 견해를 통해 지혜가 일어나는 시발입니다. 바른 견해는 지혜의 터전입니다. 요컨대 바른 견해를 갖추게 되면 팔정도 공부는 순풍에 돛을 달게 됩니다.
When we can keep our composure to perceive the world in right view, our intention to criticize others would subside. "Even I cannot control myself; how can that person be able to control him/herself? Needless to say that I won't be able to control his/her mind." We would reflect on the stupidity of forcing others to accept our views; we would then stop forcing and understand their positions. We would be able to put ourselves in their shoes and think of them with a humble attitude. This is the moment when wisdom begins to arise through right view. Right view is the ground of wisdom. In sum, when we have right view, the study of the Eightfold Noble Path would smooth as if we sail before the wind.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23
팔정도 공부 길에 나서서 순풍에 돛을 달았건만 파도가 자꾸 몰아쳐 오는 건 지금까지 지어온 업 때문입니다. 과거 생에 업장을 지어 이번 생의 파도거리를 만들어 놓은 겁니다. 내가 파도거리를 많이 지어놓았으면 미상불 아래위로 이리저리 요동치면서 나가야 될 것이고, 파도거리를 적게 만들어 놓았으면 그만큼 순탄하게 나갈 것입니다. 그것은 자업자득이니까 남 탓할 것 없이 승복해야 합니다. 내가 과거에 지은 업보를 받아야 하는 거지요.
Even if we sail before the wind in the study of the Eightfold Noble path, we would face continuous waves. Why? Because of the karma we have accumulated so far. The waves of this life are the result of the karma we have accumulated in our past lives. If I have created many waves, I would have to wade through those turbulent waves; if I have created not as many waves, then my sail would be a bit smoother. As it is the natural outcome of my acts, I should accept it instead of blaming others. I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karma that I have created in the past.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24
다른 한편으로 보면, 밀려오는 파도는 그것을 견디고 이겨내는 동안 내 공부가 무르익으라는 장치입니다. 과거에 미룬 숙제를 이번에 풀면 지혜가 생기면서 순풍을 타고 나아가게 됩니다. 따라서 바로 내가 부딪히는 그 파도들을 하나하나 헤치고 풀어 나가는 게 진짜 공부입니다. 내가 미루어 온 숙제를 스스로 풀고, 내가 부딪히는 파도를 스스로 헤쳐 나가는 게 공부입니다.
On the other hand, it might be considered a learning opportunity: my learning would mature as I weather through those turbulent waves. When I finally complete the task that I have left undone in the past, I would gain wisdom and sail smoothly before the wind. For this reason, when I wade through those waves one by one, I would be able to learn true lessons. To do the task that I have left undone, to wade through the waves of my acts, that is true learning.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25
만사가 자업자득임을 인식하고 받아들인다면 여유가 생겨납니다. 그러면 억울해할 일이 없어집니다. 내가 부딪히는 모든 문제는 있어야 할 것이 있을 때 있고, 있을 자리에 있는 겁니다. 모든 문제가 내 공부에 필요해서 있는 것이라고 받아들이십시오.
Everything is the natural result of my acts: when I accept this view, we can keep our composure. Then we would no longer harbor grievances. All the problems I face are there in the right place at the right time.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19.2.26
어떤 문제든 자기 탓임을 진정으로 승복하고 받아들인다면 여러분 얼굴이 훤해지고, 말이 정말 부드러워지고, 눈이 초롱초롱 맑아집니다. 자비의 미소가 얼굴에 퍼질 겁니다. 내가 부딪히는 이 문제가 조금도 억울하거나 부당한 일이 아니라는 것을 인정해 보십시오. ‘있어야 할 일이 바로 있어야 할 때와 장소에 있는 것이다, 이것이 내가 미루어온 숙제다, 지금 내가 이것을 하나하나 푼다.’ 이렇게 바르게 보는 공부를 하십시오. 그러면 억울한 마음, 원망하는 마음, 탓하는 마음이 스르르 사라져 갈 것입니다.
Whatever problem we might have, when we wholeheartedly accept it as the result of our own acts, our faces would become bright, our words would be soft, and our eyes would twinkle like stars. The smile of mercy would spread on our faces. Please try and accept that the problems confronting me right now are not in the least unfair and unjust. "Whatever thing happens happens in the right pace at the right time. This is a task that I have left undone. I would solve those problems one by one." Learn to see them in right view. Then all our complaints of injustice, grievances, and blaming tendencies would gradually die down.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