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ructure of the Order of the Four Noble Truths
Paragraph 3.8.1
순서의 짜임새
다음으로 네 가지 진리의 순서를 돌아볼 수 있어요. 왜 부처님은 고의 멸, 즉 ‘열반’을 바로 말씀하시지 않고 ‘고’와 ‘고의 집’을 먼저 말씀하셨을까요? 우리는 보통 처음이나 끝을 중요시하지요. 열반이 제일 중요하다면 처음에 오거나 끝에 가야 할 텐데 사성제 각 항목의 순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고의 멸이 세 번째에 어중간하게 자리하고 있는 것은 강조하기보다는 오히려 약화시키는 흔적으로 보입니다.
The Structure of the Order
Next, we can look at the sequence of order of the Four Truths. Why did the Buddha not start with the cessation of suffering – that is nirvana? Why did He instead focus on the suffering and the cause of suffering? We usually focus on the beginning or the end of a story. If nirvana is the most important, then one would assume that it would be at the beginning or right at the end of the teaching. Yet, the Four Noble Truths are not arranged in such an order. Instead, as mentioned before, the cessation of suffering is placed – rather awkwardly - as the third of the Four Truths. This placement of teaching seems to weaken rather than emphasize nirvana.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3.8.2
일반적으로 볼 때 사성제의 중심은 ‘도’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도’가 맨 끝에 있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것이 뭘 의미하는가? 그걸 생각해보려면 처음으로 가야 합니다.
Generally speaking, it is thought that the heart of the Four Noble Truths is the "path to the cessation." We might conclude from this trial the "path to the cessation" will be placed at the end. So what does this actually mean? To understand it properly, we must go back to the beginning.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3.8.3
‘고’. 우리에게 ‘고’가 없다면 이 세상에 파묻혀서 오욕락을 즐기기에 분주하다가 끝나버리겠지요. 고가 없다면 뭐 때문에 그 좋은 오욕락 놔두고 수행하려고 하겠어요? 고가 없다면 무엇 때문에 열반을 추구하겠어요?
Suffering! If we do not have suffering, we will probably end our lives after busily satisfying our worldly desires. If there is no suffering and we can be enjoying the gratifications of the five desires, why we want to undertake practice for? Without suffering, who would dare to do practice leaving all that good aside?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3.8.4
이 사바세계에서는 ‘고’가 진리에 대한 갈증을 느끼도록 만드는 유일한 장치입니다. 고가 없으면 사람이 도저히 사람다워지질 않지요. 가난의 고, 늙음의 고, 죽음의 고, 인간관계 갈등의 고 등 별의별 고를 겪어야 사람이 비로소 고로부터 벗어날 궁리를 하기 시작한다 이 말입니다. 벗어날 궁리를 하니까 그때부터 공부가 시작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고가 시발점으로 중요합니다.1
In this mundane world, suffering is the only device that makes us thirst for truth. Without suffering, a human being can not become truly a human being. Suffering – all sorts of suffering whether from poverty, from old age, from death, or from the conflict between humans - must be experienced before a person start contemplating about escaping from the suffering. The practice begins from the moment we attempt to find ways of the escape from the suffering. That is why suffering is important as a starting point.2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3.8.5
〈고요한소리〉 회원 중에 한 분이 언젠가 ‘문제는 고야. 고를 얼마나 이해를 하느냐에 달린 거야. 그게 근간 같아’라고 이야기하는 것을 듣고 내가 옆에서 빙그레 웃었습니다. 요체가 고라는 것, 정말 고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 그리고 이 세상을 고苦로 관찰하는 훈련이 중요하다는 것을 명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고의 성찰은 말할 수 없이 중요합니다.
One day, a member of the Calm Voice Society spoke, "The most important issue in Buddhism is suffering. It depends on how much we understand it. That seems to be the root."
I was well pleased to hear it. The essence is suffering, and one really needs a deep understanding of suffering. It is vital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raining oneself to examine this world in terms of suffering. The importance of self-examination of suffering cannot be overstated.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3.8.6
그런데 ‘고苦’라는 말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공식적으로 말하는 세 가지 고, 고고성苦苦性, 행고성行苦性, 괴고성壞苦性3을 교과서식으로 이해하는 데 그치지 말고 더 나아갈 필요가 있습니다. 고는 부처님이 해탈 열반을 이루고서 이 세계의 실상을 보신 후 우리 중생에게 해주신 현실고발입니다.
However, when trying to understand the term suffering, it is necessary to go further that the definition of three painful states – dukkha-dukkhatā(苦苦性), saṅkhāra-dukkhatā(行苦性), and vipariṇāma-dukkhatā(壞苦性) - as textual terms.4 Suffering is a reality check the Buddha offered to mankind, after he experienced the reality of this world, having achieved emancipation and nirvana.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3.8.7
우리가 꼭 잊지 않아야 할 것은 ‘일체의 행복이나 즐거움, 기쁨의 종착점은 고다. 그래서 반드시 고로 돌아가고 만다’라는 사실입니다. ‘이건 구조적인 고다’라는 말을 제가 즐겨 씁니다. 무슨 우연한 고나 일시적인 고가 아니다, 고는 구조적으로 피할 수 없고, 그래서 우리 존재가 본질적으로 고존苦存이다는 말입니다. 이러한 인식이 있어야 고로부터 벗어나려는 바른 공부가 시작되기에 맨 처음에 있게 된 것입니다. ‘고’라고 현실고발을 하고서 고의 연유를 상세히 설명하신 대목이 십이연기입니다. 현실이 고라면 다음으로 고가 왜 발생하는가를 설명하는 것은 합리적입니다. 이렇게 해서 사성제의 전반은 고라는 현실과 그 발생과정을 보여줍니다.
We must never forget the reality that, "Suffering is the final destination of all happiness, joy, and pleasure. For everything returns to suffering." For this, I often say "structural suffering." This is not an accidental or temporary suffering. It is structurally unavoidable, so our existence is the existence of suffering by nature. This awareness is the first requirement for us before we can begin to escape from suffering. That is why suffering is the first chapter of this study. The dependent origination is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reason and origin of suffering offered by the Buddha. If the reality is suffering, it is reasonable to ask the next question "why there is suffering?" Thus, the first half of the Four Noble Truths reveals the reality of suffering and its origin.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3.8.8
사성제의 후반은 고의 현실로부터 벗어남에 관한 소식입니다. 세 번째 멸성제는 ‘이러한 구조적인 고라도 벗어날 수 있다’는 희망의 선언입니다. ‘여기 고의 멸이 있으니 이리 오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으신 것입니다. 바로 멸성제 때문에 차안此岸에서 고에 시달리는 우리에게 부처님 계신 피안彼岸으로 건너가는 것이 삶의 목적이 되었습니다. 당신이 직접 벗어난 경험을 토대로 인류 모두에게 갈 길을 보여주셨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피안으로 갈 수 있느냐?’만이 남은 문제입니다. 이렇게 고, 집, 멸의 순서상 논리를 이해하면 도가 뒤에 오는 것이 당연해집니다. 그때부터는 이 팔정도 길을 실제로 걸어 나아가는 행위가 중요해집니다. 이렇게 해서 불교의 진리가 팔정도로 종결됩니다.
The latter half of the Four Noble Truths covers the news of how to free ourselves from the reality of suffering. The third part of the Four Noble Truths, the Noble Truth of the Cessation of Suffering, is a declaration of hope that "we can escape even from this seemingly structural suffering." The Buddha wants to deliver the message, "Come forth, for the cessation of suffering is here." Thanks to the Noble Truth of the Cessation of Suffering, we can now aspire to go from this life filled with suffering to the side of nirvana. He has shown the way which is based on his own experience of the cessation of suffering to all of mankind. Then, the only question left is "How can we make the journey to the other shore?" If you understand the sequential logic of suffering, its causes and its cessation, it becomes self-evident to put the path towards the cessation last. From then on, what becomes important is the actual action of walking the path of the Noble Eightfold Path. In this way, the truth of Buddhism culminates with the Noble Eightfold Path.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3.8.9
‘고’로부터 시작하여 ‘고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이르는 합리적 순서 때문에 열반은 시렁 위에 높게 올려놓은 목표가 아니라 인간 누구나가 손을 뻗쳐 잡을 수 있는 목표가 되었습니다. 팔정도는 저 높은 곳에 있는 이상이 아니라 바로 일상생활이라는 점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는 한문 문화권에 태어났기 때문에 ‘도인道人’이라는 말을 상당히 많이 접하지요. ‘도인’ 하면 ‘일을 해 마친 사람’ 정도로 생각하는데, 이는 도인이라는 말이 남용되고 신비화된 결과입니다. 이때 도는 역시 관념화됩니다. 도가 관념의 길이 되어버리면 정말 구제 불능이지요. 길이 구체적이지 않으면 우리가 의지할 수가 없습니다. 구체적인 길로서 팔정도는 바로 우리의 일상생활입니다. 불교에서 도인이란 말이 있다면 그것은 ‘팔정도라는 일상적 길을 걷는 사람’이라야 할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Because of the rational sequence starting from Suffering to the Path of the Cessation of Suffering, nirvana has become a goal that all of us can reach and attain, not a lofty ideal that is beyond our reach. We need to clearly state that the Noble Eightfold Path is not an unattainable goal, but part of our everyday life. Because we (the Korean Buddhists) live into the Chinese cultural sphere, we are accustomed to hearing the word 'the one who knows the way.' Translator's note: 道人, doin in Korean, daoren in Chinese, guru or ascetic It usually means "someone who has completed the work", but this is a perversion and mystification of the original word. In this instance, the way has become a conceptualization. If the way ends up as a conceptualization, it really becomes irredeemable. If the road is not concrete, we cannot depend on it. A concrete pathway, the Noble Eightfold Path, is really our actual everyday life. If there is to be a word for 'the one who knows the way' in Buddhism, it should mean "a person who walks the road of the Noble Eightfold Path in everyday life."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3.8.10
예를 들면, 정어正語란 바르게 말하고 나쁜 말 피하는 것인데, 그것이 무슨 시렁 위에 올려놓고 신비화시킬 것입니까?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아침저녁으로 부딪히는 현실 아닙니까? 내가 말을 부드럽고 편하고 듣기 좋게 하면 일이 수월하게 전개되고, 내가 어쩌다 성이 나서 말을 좀 모나게 하면 상대도 괴롭고 나도 괴롭지요. 더욱이나 거짓말이라도 하면 이 참 난감합니다. 거짓말이 탄로 나지 않게 하려고 이중삼중으로 거짓말을 또 해야 되고, 그게 잘 꿰어 맞으려면 이 사람한테 이 말 하고 저 사람한테는 저 말 하게 되니까 얼마나 피곤한 일입니까? ‘하지 말라’ 하는 게 아니에요. ‘거짓말 하지 말라’가 아니라 ‘거짓말로부터 몸을 빼고, 물러서라’, ‘거짓말 근처에 가지 말라’는 말씀입니다. 그렇게 ‘말을 챙기고, 행동을 챙기고, 삶을 챙기고, 생각을 챙기고, 나아가 견해를 바로 챙겨라. 정진, 정진 하는데, 유별난 호들갑 떠는 정진을 하지 말고, 차분한 일상적 정진을 하라’는 말씀입니다. 그래서 자신의 주변을 서서히 가라앉히고 정화시키라는 뜻입니다.
For example, right speech means speaking the right words and avoiding the bad words. Why then are we mystifying such a common wisdom by putting it upon a pedestal? Is it not the reality confronting us in every morning and every evening? If we make our speech gentle and pleasant for the listeners, our interactions will be easier. On the other hand, if our anger gets the better of us and the words become sharper as a result, both the listeners and I will suffer. Moreover, if lies are included, the situation could become even worse. One lie will require another lie in order not to get exposed, and if we are trying to keep up the different lies told to different people, the situation becomes even more tiring. The Buddha is not simply saying "Do not lie", but "Remove yourself from lies" and "Do not go near lies." Put great care into your speech, your action, your life, and your thoughts, and going further, take especially great care to set your opinion correctly. What he means is not to make an unwarranted fuss about right effort but to calmly continue to improve day by day. In that way, He asks us to gradually calm and purify our surrounding.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3.8.11
팔정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고요입니다. 마음이 들떠서 무슨 바른 길이 가능하겠습니까. 그래서 어떻게든지 마음을 고요한 상태로 유지하려니까 특별한 공부가 좀 필요한데 그게 바로 정념正念입니다. ‘내 마음은 마치 야생 코끼리처럼 숲속을 헤매고 돌아다니는데 그걸 붙잡아다가 튼튼한 기둥에 매어서 도망가지 못하도록 해라. 그러나 이 코끼리가 원체 힘이 세서 어떤 끈으로 묶어도 또 도망가고, 또 도망가버린다. 그러면 그때마다 천 번 만 번 계속 붙잡아 갖다 매라’ 그러다 보면 코끼리는 지치고 내가 붙들어 매는 끈은 조금씩 더 강해집니다. 마침내는 야생 코끼리 같은 이 마음을 붙들어 매는데, 그 붙들어 매는 데가 어디냐? 부처님은 이 몸, 바로 숨 쉬고 밥 먹고 걷고 잠자고 하는 이 몸에다 마음을 매라고 하였습니다. 이것이 부처님께서 제시하신 길의 비결입니다.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Noble Eightfold Path is calmness. If your own mind is restless, how would it be possible to keep to the right path? Maintaining calm requires suitable practice, and this is right mindfulness. Our mind is like a wild elephant, wandering through the woods, and we need to catch it and tie it to a sturdy tree to prevent its escape. However, this elephant is too strong to be kept tied up with any rope and so, it runs away again and again. So, when it escapes, you have to catch it and tie it up again, over and over – for a thousand times. Eventually the elephant will become tired, and the rope we hold on need to get stronger. When we can finally tie up our mind like a wild elephant, where will we find ourselves tied to? The Buddha told us to tie our mind to our body, the body with which we are breathing, eating, walking and sleeping. This is the key to the way the Buddha revealed.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3.8.12
결국 ‘고苦’로부터 시작하여 ‘도道’로 맺어지는 사성제의 순서는 우리의 일상적 삶이 놓여 있는 구체적인 처지, 즉 고로부터 출발하고, 고로부터 벗어나는 길도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찾으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신비화, 우상화, 서두름, 공부길의 다양한 유혹 등 각종 샛길에 빠지지 않도록 ‘지금 여기’에서 출발하고 나아가도록 바른 길로 나아가도록 하는 장치가 사성제 순서의 짜임새 속에 숨어 있는 것입니다. 일상 수행의 구체적 과정 속에서도 사성제의 순서가 절묘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멸성제는 고성제와 대칭 관계에 있습니다. 집성제를 중심으로 보아 십이연기를 순관順觀하면 고성제가 되고, 십이연기를 역관逆觀하면 멸성제가 됩니다. 즉, 집성제를 중심으로 고성제와 멸성제는 대칭관계에 있습니다. 우리는 십이연기의 순관을 통해 고성제의 진리성을 알게 됩니다. 반면 십이연기의 역관을 통해서는 멸성제의 진리성을 알게 됩니다.
So, the sequence of the Four Noble Truths, beginning with Suffering and ending with the Path, reflects the very structure of our everyday life. Buddha teaches us that life starts with suffering, and the way to escape from the suffering is also to be found in our everyday life. Hidden in the structure of the order of the Four Noble Truths is the device to help us not to fall into various wrong paths such as mystification, idolization, over-haste, and diverse temptations while practicing, but to start from ‘here and now’ and keep on and stay on the right path.
Even within everyday Buddhist practice, the order of the Four Noble Truths plays a superb role. The Noble Truth of Cessation is in symmetrical relationship with the Noble Truth of Suffering. If you take a look at the dependent origin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Noble Truth of Cause of Suffering, you will reach the Noble Truth of Suffering by following its direct order of ‘where there is ignorance, there is volitional formations’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if you were to reverse the order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you will reach the Noble Truth of Cessation by following the reverse order of "where there is no ignorance, there is no volitional formations" and the like. In other words, the Noble Truth of Suffering and the Noble Truth of Cessation are in a symmetrical relationship centered on the Noble Truth of Cause of Suffering. We make the truthfulness of the Noble Truth of Suffering known through the direct order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Similarly, through reversing the order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we make the truthfulness of the Noble Truth of Cessation known.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3.8.13
하지만 역관은 또 다른 문제를 제기하기도 합니다. 식이 없으려면 행이 없어야 하고 행이 없으려면 무명이 없어야 하는데, 그러면 결국 식이 없어지기 전에는 열반에 도달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식이 없어야 행과 무명이 없을 수 있다’는 인식 자체는 식 놀음입니다. 내가 지금 식 놀음으로써 ‘식이 없어져야 한다’고 말하면 자체부정에 봉착하게 되지요. 식으로써 식이 없어져야 한다고 하니까. 결국 멸성제가 진리라는 것이 추측은 되는데 추측은 진리가 아니므로 ‘가봐야 안다’는 얘기가 됩니다. 이렇게 하여 ‘지식을 넘어 실제로 가야 한다’는 실천도에 대해 마음의 준비가 일어납니다. 이는 ‘알음알이를 초극하는 노력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결단을 강요받는 상황입니다. 이것이 십이연기의 역관에서 봉착하는 문제입니다. 즉, 멸이 있다는 부처님 말씀에는 신뢰가 가는데 그걸 누리기 위해서는 결국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이 짓을 초월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알음알이 놀음이 중단되어야 식이 없고, 행이 없고, 그래서 무명까지 없어지는 그 세계에 도전할 수 있다는 것이 논리적으로 당연한 귀결입니다. 그런 노력이 없으면 역관을 아무리 해봐야 행동할 의지가 나오지 않습니다.
But this ordering and reversing the order also implies another problem. As there must be no volitional formations to cease consciousness, and there should be no ignorance to cease volitional formations, it is not possible to reach nirvana until consciousness finally disappears. This would make the logic of arguing "Volitional formations and consciousness will be gone where there is no ignorance", with which I will end up with the self-contradiction by playing a game of consciousness while at the same time saying "I should get rid of consciousness." After all, we can only guess that the Noble Truth of Cessation is the truth. Yet, as guess is not the way to reach the truth, we are saying that we are only able to know by reaching the destination. This prompts us to go beyond knowledge to actual practice. In this situation, we are determined to acknowledge the need for an effort to go beyond intellectual speculation. This is the requirement in reversing the order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So while we believe in what the Buddha said about the Cessation, we must stop playing the game of intellectual speculation that we are doing now in order to enjoy the outcome of His teaching and reach the world of no consciousness and no ignorance. This is logically valid conclusion. Without such an effort, we will not be able to take a single step out of the game of intellectual speculation.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3.8.14
그런데 다행히 고성제와 집성제를 통해서 우리에게 충분한 확신을 주신 다음에, 멸성제의 가능성과 동시에 결단 촉구가 따르기에 우리는 마지막 도성제를 스스로 밟아보려는 결심을 할 수 있게끔 됩니다. 알음알이로 십이연기의 끝까지 갈 수 없으니, 즉 무명이 없어지는 데까지 이를 수 없으니 ‘무명을 없애려면 어떤 본격적인 노력을 해야 하는구나’ 짐작하게 되고, ‘그러면 어떻게 하면 됩니까?’ 하고 묻게 됩니다.
Fortunately, we are given enough assurance through the Noble Truth of Suffering and the Noble Truth of the Cause of Suffering before we are shown both the possibility of the Noble Truth of Cessation and a call for action at the same time. With this assurance, we are able to determine to take one step towards our own final task of the Noble Truth of the Path. As we cannot make it to the end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with consciousness, that is, we cannot reach to the stage of freedom from ignorance, we begin to fathom that this requires us to make an earnest effort to get rid of ignorance and therefore we then ask the crucial question "what then do we have to do?"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3.8.15
그 대답으로 도성제가 주어집니다. ‘팔정도를 닦아라. 팔정도를 닦으면 멸에 도달한다. 팔정도는 멸에 도달하는 유일한 길이다. 앞서 고성제, 집성제, 멸성제를 진정으로 붙잡고 생각하고 씨름했다면 지금부터는 도성제를 진지한 자세로 착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바른 실천으로 이끄는 장치가 간단한 네 마디 구조 속에 다 담겨 있습니다. 사성제의 순서는 우리로 하여금 바른 실천도, 팔정도의 실수행으로 이끄는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The answer given to us is the Noble Truth of the Path. "Practise the Noble Eightfold Path. If you practise the Noble Eightfold Truth, you will reach the Cessation of Suffering. The Noble Eightfold Truth is the only way to reach the Cessation. If you had previously earnestly grappled with, really contemplated and steadfastly wrestled with the Noble Truth of Suffering, the Noble Truth of Cause of Suffering, and the Noble Truth of Cessation, now you will be ready to embark on the Noble Truth of the Path in earnest manner from now on." In this way, we can find the device that leads us to the right practice within the simple four-truth structure. In other words, we can conclude that the order of the Four Noble Truths has a structure that leads us to the right practice and the actual practice of the Noble Eightfold Path.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