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odern Implication of Five Precepts
Paragraph 9.4.1
오계의 현대적 함의
이 기회를 이용해 오계에 대해 조금 더 깊이 검토해야겠습니다. 보통 절에 다니는 불자들은 오계 이야기가 나오면, ‘나는 그거 잘 지킵니다.’라고 합니다. ‘나는 남의 주머니에 손 넣지 않았으니까 훔치지 않았다’ 하는 식으로 넘어가면서 ‘나는 해당 없어’라고 하지요. 과연 그럴까요? 혹시 그런 태도가 부처님의 가르침을 예사롭게 흘려버리는 과오를 범하는 것은 아닐지 우리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아야 하겠습니다.
I would like to take this opportunity to look at the Five Precepts in more depth. The first reaction of lay Buddhists attending the temple at the mention of the Five Precept is, 'I keep it well.' 'I did not steal because I did not put my hand in someone else’s pocket ', thereby saying 'I am free from it.’ But is that really so? We must look back on our own lives, in order to ensure that we are not casually wasting the Buddha's teachings through such blasé attitudes.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2
오계의 첫째가 불살생不殺生이지요. 살생은 목숨 빼앗는 것을 가리킵니다만 생명을 해치거나 고통을 주는 것도 다 포함됩니다. 예를 들면, 어린애들이 장난삼아 잠자리를 잡아서 날개 하나를 뽑아버립니다, 그 잠자리는 당장 죽지는 않습니다, 한쪽 날개로라도 억지로 날아갑니다. 그러면 그건 살생이 아닌가요? 그렇지 않지요. 생명을 불구로 만들어 중대한 해악을 끼친 것이니 불살생계를 어긴 것에 해당됩니다. ‘생명을 해치지 말라’는 것이 얼마나 현명한 가르침인가는 오늘날 우리가 몸으로 직접 경험하고 있습니다. 요즈음 마음 놓고 수돗물도 못 마시는데, 그 원인 중에 큰 부분이 농약 살충제 화학물질로 인한 오염입니다. 우리는 수확을 좀 더 올리기 위해 어느 때부터인가 농약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우리 전통에서는 농사를 하나 짓더라도 그 곡식을 두고 어떤 대상과 경쟁 관계에 서서 ‘그 대상을 쫓아내고 내가 독점하겠다.’는 식의 발상은 하지 않았지요. 쥐가 좀 뜯어먹거나 벌레가 좀 뜯어먹더라도 ‘나누어 먹는다’고 생각했지, ‘절대 그러면 안 된다’든가 상대의 목숨을 해쳐서라도 ‘이 곡식을 내가 독점하겠다’는 식의 발상은 하지 않았습니다.
The first of the Five Precepts is abstention from killing living beings. While the word kill may imply direct murder, it also is about harming and hurting another life. For example, when a child rips away a dragonfly’s wing as a prank, the act itself may not kill the dragonfly immediately. It will try to fly away, albeit on one wing. Would this not fall under killing then? It still does. It is a gross violation of the body of another sentient being, and thus a violation of the first precept. We experience with our own bodies the wisdom of this teaching. Nowadays, we cannot even drink tap water without worrying, because of concerns about chemical pollutions from pesticides. We have begun to use pesticides to increase the harvest yield from some time ago. In our tradition, our ancestors did not come up with the idea standing in competition with any living being, thinking 'I will drive out these things and monopolize it.' Their thought was of ‘sharing’ when the rat or bugs ate some products of their labour, not ‘will never allow it’, even to the point of committing killing actions to ‘monopolise these crops.’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3
그러나 농약을 쓰면서 소위 해충을 죽이기 시작했습니다. 농약이라는 이름도 참 우스워요. 왜 거기다 ‘약’이라는 말을 썼을까요. 약이 아니지요, 죽이는 거지요. 어쨌든 이 살충제, 강력한 구충제를 써서 수확을 많이 올려 농사의 수지를 맞추었습니다. 어찌 보면 늘어가는 인구의 식량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도 할 것입니다. 단기적으로는 그렇습니다만 장기적으로는 대단히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몇 천 년 농사 전통에서 농약을 쓰기 시작한 것은 불과 몇 십 년도 안 됩니다. 그 짧은 기간에 농약을 사용한 과보가 벌써 우리에게 치명적으로 돌아오고 있다는 말입니다.
But with the usage of pesticides, we began to kill the so-called pests. For the pesticide, which is known as ‘crop medicine (農藥),’ the name is also ridiculous. Why is the word 'medicine' used to describe pesticide? It's not a medicine, it's used for killing. Anyway, since we started using these insecticides, and powerful pesticides to maximise the harvest, farming had become more profitable. Perhaps, this also helped to solve the food problem of the growing human population. Perhaps true, in the short term at least, but this is a very serious problem in the long run. It has been only a few decades since we started to use pesticides in our farming, a tradition which goes back thousands of years. Using pesticide even during that short period is resulting in a terrible karma coming back to us.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4
목숨은 어떤 경우에도 어떤 명분으로도 해쳐서는 안 되는 것이었는데, 우리는 ‘과학 영농을 한다’느니 ‘수지맞는 농사를 짓는다’느니 하는 명분하에 그 엄중한 계를 어긴 무서운 짓을 한 것입니다. 본격적이고 대대적으로 살생을 저지르게 되었고, 그 과보는 얼마 못 가서 바로 우리에게 돌아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물도 마음대로 못 마시고 몇 만 년을 내려온 금수강산을 무서운 독으로 오염시켰습니다. 앞으로 지하수까지 오염되는 날이면 그 다음 대책은 어떻게 세울지 참으로 두려운 실정입니다.
Life was not meant to be harmed in any way, for any cause, yet we did a terrible thing in breaking this strict precept in the name of "doing an economic farming" or "running a scientific farm". We have begun to kill and massacre systematically, and the karma is coming back to us shortly. Now, we cannot drink water in peace, and our beautiful nature, which had been passed down to us over millennia, is now polluted by terrible poison of our own making. If the underground water is contaminated in the future, it is truly scary to imagine how we would deal with such a situation.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5
그 출발점은, ‘생명을 해치지 말라, 존귀한 생명을 아끼고 존중하라, 남의 생명은 내 생명과 같다’ 하는 사상이 은연중에 무시된 데 있습니다. 여러 명분에 휩싸여서 우리가 생명의 존엄성에 전혀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는 사이에 이렇게 엄청난 사태로 진행된 겁니다. 이제는 이미 호랑이 등에 탄 격이라 내릴 수도 없어요. 이젠 농약을 치지 않으면 농사가 안 된다고 합니다. 앞으로 과학이 더 발달하면 아주 심각한 사태는 넘길지 모릅니다. 그러나 우리의 이익을 위해서 남의 생명을 해치고 있는 한 아무리 과학기술이 발달해도 그 과보를 면할 수 없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과학으로 위기를 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할 것입니다. 오계를 되짚어보면 과보를 면할 수 없는 일이지요.
The starting point of this trouble is that we have subconsciously ignored the concept of 'do not hurt life, save and honour all lives, and treat other life like your own.' We have failed to pay attention to the sanctity of life under many different reasons, and have been left facing a tremendous situation. We are already on the back of a tiger in full flight, and cannot get off now. If you do not use pesticides, you cannot farm nowadays. Perhaps if science develops further in the coming future, serious events may be averted. However, as long as we are prepared to hurt other lives for the benefit of our own profit, then no amount of technological advancement can save us from the karma of our actions. If you think you can avoid the crisis thanks to science, you should think again. Thinking of the Five Precepts, you will know that karma cannot be avoided.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6
우리가 근래 서구로부터 받아들인 의학적 사고방식도 역시 살생의 철학입니다. 옛날 우리 조상들이 병을 대하는 태도는 아까 말한 농사짓는 태도와 비슷합니다. 몸이 불균형을 이루어 어떤 부분이 약하면 그 약한 부분을 약을 써서 보하거나 침으로 자극을 줘서 활력을 되살리는 식으로 병을 다스려왔습니다.
Medicines we have received from the West in recent times also incorporate the philosophy of killing. The attitude of our ancestors to a disease in the old days is similar to the farming attitudes mentioned above. If your body is imbalanced and weak in some parts, you can regenerate vitality by using medicine, or stimulating it with acupuncture.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7
그런데 서구 의학은 발상법이 다릅니다. 말하자면 병 뒤에는 악마가 있습니다. 병균이 있다 이 말입니다. 그래서 어떻게든지 그놈을 박살내야 합니다. 약을 쓰든지 수술을 하든지 그 균을 죽여야 건강을 되찾는다는 사고방식입니다. 병균을 죽이는 약을 몸에 투입합니다. 기를 보하는 약이 아니라 균을 죽이는 약을 몸에다 넣습니다. 그런데 농약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놈들은 안 죽으려고 자꾸 저항성을 키우거든요. 그래서 더 강한 약을 써서 균을 죽입니다. 그럼 이 균은 죽지 않으려고 저항성이 더 강해집니다. 그럼 더 강한 약을 또 써야 합니다. 서로 무한 경쟁을 하는 겁니다. 이렇게 해서 우리 몸뚱이가 무서운 독과 생명력과의 무한 경쟁의 전쟁터로 변하고 있습니다. 몸뚱이 자체가요.
However, western medicine is different from its inception. It supposes a demon behind the disease. This demon would be called germs. They must be found and destroyed through whatever means. Whether by medicine or by operation, health can only be regained by killing germs. Medicine used to kill germs is injected into our body. This is not the medicine that regenerates vitality, but germ-killing medicine which is put into our bodies. But as in the case of pesticides, germs have now developed resistance in order to not to be killed. This calls for a stronger medicine to kill the resistant germs. Then this would call for an even stronger medicine. They would compete with each other forever. In this way, our body is transformed into a battlefield of infinite competition between terrible poison and vitality. Our body itself becomes battlefield.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8
이렇게 된 것도 불과 얼마 전부터입니다. 우리 동양인들은 몸이 아프면 의원 찾아가서 약 한 첩 지어먹고 기운을 차린다든가 원기를 회복한다든가 균형을 되찾는다든가 해서 나았습니다. 뭐 또 낫지 않으면 할 수 없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농약 쓰듯이 몸 안으로 소위 의약을 투입하고, 그것도 모자라 장기를 아예 기계 부속품처럼 교환합니다.
This has become so only recently. Before, we (East Asian) people, if our body became sick, went to the traditional clinic and took medicine to revitalise ourselves, or regain bodily balance. If we couldn’t be cured, it was accepted as such. But now, like the use of pesticide, we put these so-called medicines into our body. We have now begun to replace our organs, as if they were some mechanical parts.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9
불교계에서도 죽으면서 장기 제공하는 것을 운동으로까지 전개한다는 말을 들으면서 제 심정은 착잡했습니다. 어떻게 보면 참 아름다운 이야기입니다. 이제 죽는 마당에 쓸모없게 된 내 기구를 필요로 하는 산 사람에게 준다, 우선은 아름답습니다.
I was confused when I heard that the Buddhist would promote organ donation as a campaign. This is a beautiful story from one perspective. First it is a beautiful gesture to donate my organs, which have become useless to dying me, to another live person.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10
그런데 길게 보아도 그럴까요? 아마 인간의 오장육부가 공장에서 생산되는 날이 올 겁니다. 얼마 안 있어 장기이식도 필요가 없어집니다. 남 쓰던 거 뭐 하러 써요? 새 거 공장에서 사서 쓰면 되는데. 그렇게 되면 중대한 문제가 하나 생깁니다.
But would the long-term result remain the same? Maybe there will be a day when human organs are produced in the factory. Soon, transplantation will no longer be necessary. Why would you need to take a hand-me-down from someone else? Especially so when we can buy brand-new one from a factory. Yet there is a critical problem.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11
이 교만하고 무지한 우리 인간이 그래도 겸허해지는 건 죽음 앞에서입니다. 그런데 앞으로는 죽음마저도 겸허해지는 계기가 아니라 돈타령하는 계기가 될 겁니다. ‘어느 나라 어느 공장에서 최신 제품의 간이 나왔는데 내가 돈이 없어 못 사서 죽는다’라고요. 그런 때가 되면 생명에 대한 경외감,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어디론가 종적을 감추게 될 것입니다. 얼마 전에는 죽을 때 ‘빽!’ 하고 외치고 죽는다던데, 이제는 ‘돈!’ 하고 외치며 죽을 겁니다. 그렇게 죽는 사람은 죽음이 주는 고귀한 자기 각성, 인생을 되돌아보는 절체절명의 기회를 스스로 포기하는, 그래서 죽음의 교훈마저 살리지 못하는 비극적 인간이 됩니다. 오늘날 장기이식의 미담이 결코 순수한 미담으로만 들리지 않는 데 고충이 있습니다.
It is only in front of death that we the arrogant and ignorant becomes humble. However, in the future, even death will not be a humbling occasion, but just another opportunity to complain about materials and money. 'There is a latest model of liver from some factory in another country, yet I must die because I have no money.’ When such a time arrives, our awe at life and fear at our mortality will disappear. A while ago, we would say "bback (corrupted form of ‘connection’ or ‘backer’ in Korean language) " when we die, but now we will be yelling “money!” as we exhale our final breathe. Such a person is a tragic human being who gives up the tremendous chance of noble self-awakening and looking back on his life at his deathbed, and who will not even have the chance to learn the lesson of death. Thus, there is bitterness at being unable to listen to these tales of organ donation as a gesture of kindness.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12
불살생계는 그 정도로 하고, 다음은 불투도계不偸盜戒입니다. ‘훔치지 말라’는 얘기인데 본래는 ‘주어지지 않은 것은 갖지 말라’는 뜻입니다. 주어지지 않은 것, 그것이 설혹 길가에 지천으로 널려 있더라도 갖지 말아야 한다는 겁니다. 이 계를 생각하면 오늘날 우리는 몸 둘 바를 몰라야 마땅합니다. 뭐 주기를 기다리기는커녕 못 가져서 안달 날 정도를 넘어 사생결단을 하지요. 뭐 그래도 법이 무서우니까 도적질은 안 한다고 칩시다.
Let’s stop discussing abstention from killing living beings for the moment, and move on to the abstention from theft (不偸盜戒). This means “do not steal”, which has its origin in the phrase, "do not take what is not given." If we are not given, we should not take, even if they are scattered all around the roadside. If we think about this precept, we would not know what to do. Nowadays, we do not want to wait to be given something, but risk our lives to take everything we can. Well, let's just say that we do not engage in theft as it would be against the law.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13
그런데 우리는 합법적으로 많은 도적질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우리 후손들이 누려야 할 것, 후손의 재산이 될 것을 많이 빼앗고 있습니다.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이 바로 그 전형입니다. 우리는 조상들로부터 깨끗한 환경을 물려받았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후손들에게 더 깨끗하고 더 아름답게 만들어서 물려줘야 할 의무, 부모로서 또는 선조로서의 의무가 있습니다. 후손으로서 받았을 뿐 아니라 선조로서 물려주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지금 우리는 탐욕스럽기 그지없어서 우리 후손들이 누려야 할 자연을 목전의 내 이익을 위해서 몽땅 유린하고 남용하고 훼손합니다. 이게 도적질 아닙니까? 역사 앞에서 도적질하는 것입니다. 그런 짓을 하면서 입으로는 ‘경제를 발전시켜 부강한 사회를 후손들에게 물려준다’고 큰소리치고 있습니다.
There are still many thefts we are engaging legitimately. We are stealing from what our descendants should be able to enjoy, stealing from what would become their properties. Polluting the environment is a typical example. We inherited a clean environment from our ancestors. We have an obligation, as a parent and as a forerunner, to make it clearer and more beautiful for our descendants. We have not only received these gifts as a descendent ourselves, but we also have a responsibility to pass on to our own descendants. But now we are too greedy, so we have to abuse, misuse and undermine the nature that our descendants should enjoy for our own gratification. Is this not a robbery? It is stealing, right in front of history. While doing so, we are shouting loudly, "We will develop the economy and pass on a richer and stronger society to our descendants."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14
긴 역사적 안목에서 보면 우리 세대는 과학이라는 신비로운 장난감에 도취된 철없는 아이에 속할 겁니다. 요사이 아이들이 컴퓨터 놀이에 정신을 잃고 열중한다던데, 그거 애들만 보고 할 얘기가 아닌 것 같아요. 과학기술 놀이에 정신이 빠져서 그 결과가 어떨지를 전혀 돌아보지 않는 무지한 어른들, 위정자나 사회의 지도층은 전자오락실에서 노는 애들하고 똑같습니다.
From a long historical point of view, our generation will belong to a mere child who is absorbed in the mysterious toy of science. I heard that the children are now lost in computer games, but I do not think that argument should be reserved for the children alone. The ignorant adults, the leaders of the society, who themselves are absorbed in technology plays and fail to examine the consequence, are no different from these children who waste their time at the local game arcade.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15
그것이 자기 세대의 정신적 황폐에 그치면 그나마 괜찮은데, 후손들이 마땅히 누려야 할 환경과 자원을 몽땅 유린하고 있다 이 말입니다. 무슨 작심으로 이러는 걸까요? 그런 훔치는 죄를 우리가 짓고 있습니다. 우리는 대대적으로 불투도계를 범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과보 또한 바로 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누구나 그런 현상을 목격하면서도 ‘그것이 아니다’고 말하는 사람이 잘 안 보여요. ‘그래선 안 된다’고 바로 잡으려는 사람이 없습니다. 경제발전이라는 명분 앞에서 모두 꼬리를 감추고, 대규모로 훔치는 일들이 공공연하게 인정되고 있어요.
It would be fine if the result is limited to the spiritual devastation of our generation, but we are already devouring all the environments and resources our next generations deserve. What does this mean? We are committing the sin of stealing. And we are receiving the karma. But the problem is that we do not see anyone speaks up and says, “This is not good,” and try to stop, or disagree with by saying “no, we must not do this.” Every dissenting opinion hides itself in light of economic growth, and large-scale thievery is carried out publicly in broad daylight.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16
이런 시점에 우리가 오계를 말하고 있는 것은 어찌 보면 너무 한가한 노릇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렇지만 정말 이런 시대에 우리는 부처님의 지혜에서 나온 오계를 자기 자신에게 엄중히 대입해봐야 합니다. 그리고 구조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현대의 대대적인 과오를 깊이 들여다보고, 부처님의 오계 정신을 이 시대에 과감하게 적용해 나갈 방법을 찾는 데 마땅히 머리를 싸매야 할 것입니다.
Perhaps it is too leisurely to discuss about Five Precepts in times like this. But we must strictly apply the Five Precepts that came from the Buddha’s wisdom to ourselves, especially in the era we live in. We need to look back at massive mistakes made in modern times, and desperately to find a way to boldly apply the spirit of Five Precepts of the Buddha in this age.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17
참으로 벅찬 과제입니다. 여기 모이신 여러분은 스스로를 왜소하고 무력한 존재라고 생각할지 모르겠습니다. 그 앞에다 대고 제가 이런 말씀드리는 게 때와 장소에 맞지도 않는 말을 하는 것이어서 바른 말[正語]을 어기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어요. 그러나 가장 비근한 우리의 삶을 계에 입각해 생각해 보고, 내가 오계를 어기는 데 어떻게 동조하고 공범이 되고 있는지를 챙겨보는 일은 불자로서 수행의 근본이 될 것입니다.
This is truly a very challenging task. I do not know if you feel dwarfed and powerless. I do not know if I am in violation of Right Speech (sammā-vācā) by speaking which does not fit into the time and place. However, considering our life in relation to the precepts, and comprehending how we have become an accomplice in breaking the Five Precepts is the foundation to the Buddhists’ training.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18
비록 텔레비전이, 신문과 잡지가, 학교가, 사회가 그저 ‘소비, 소비, 소비’로 우리 자신과 아이들을 몰아가고 있다 할지라도, 자식들에게만이라도 굳건하게 계를 지키는 모범을 보이고, 가정부터가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계를 지키는 장場이 되도록 만들 길은 정말 없는가? 진정 부처님이 말씀하신 ‘일 없는 생활, 간소한 생활’ 그런 생활을 할 수는 없는가? 이걸 한번쯤 생각해보자 이 말입니다.
Even though television, newspapers, magazines, schools, and society are herding us and our children with the messages of 'consumption, consumption, consumption', we have set an example of keeping to the Five Precepts for the sake of our children. Is there really no way to make our home a place to keeping the precepts? Is it truly not possible to live such a life like 'life without work, simple life' that Buddha commented? We need a moment to reflect on this subject.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19
더 나아가 조금 줄여 쓰는 정도가 아니라 애초에 쓰고 싶은 마음이 적게 일어나도록 근본적인 가치 전환을 시도해야 합니다. 그래야 앞서 말한 바른 견해, 정견이 제대로 잡힙니다. 이 사회 전체가 소비를 보는 견해가 잘못되어 있더라도 자신만은 생각의 모서리에서 잘못된 소비관을 하나하나 점검해 털어내서 소비에 대한 견해를 바로 세워보자, 정말 소비가 많을수록 행복한가? 물건을 많이 구입해야 행복도 많아지는 것인가? 그런 생각이 은연중에 뇌리에 있지는 않는가? 이런 걸 점검해 보자는 겁니다. 그래서 ‘소비는 좋다’는 신화에 철없이 말려들어 오염되었다면 그걸 한번 씻어내 보자는 겁니다.
We should try to make a fundamental change in value so that we do not want to just spend a little less, but that there would be a less desire to spend in the first place. That way, we can attain Right View (sammā-diṭṭhi), which we’ve discussed previously. Even if the entire society is possessed with a wrong perspective on spending, we need to review the existing idea of consumption by one corner of our brain, and correct our views on the consumption. Does your happiness grow bigger with greater spending and consumption? Is such a thought not implicitly present in our mind? Let us use this opportunity to analyse this. So, if the myth of "consumption is good" has become ingrained and corrupted you, let us wash it away.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20
소비가 옳으냐 그르냐를 얘기하는 것이 아닙니다. 필요할 때는 소비해야지요. 그러나 소비를 위한 소비는 내가 자유롭기 위해서라도 매번 점검해서 털어내야 합니다. 이렇게 바른 견해를 세워나가면 오계도 바로 세울 수 있다는 겁니다.
We are not looking to determine whether consumption is right or wrong. You have to consume when you need it. However, consumption for consumption’s sake should be checked and washed away every instance, for the sake of our own freedom. Once you can establish Right View through this, then you will be able to attain the whole Five Precepts.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21
‘심플 라이프simple life’란 참 좋은 말입니다. 생활이 심플하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여러분 너무들 바쁘지요? 가만히 들여다보면 한가한 시간이 두려워서 바쁨 속으로 도피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어쩌면 여러분이 제일 두려워하는 게 바로 그 심플 라이프지요. 왜 두려워하게 되었을까요? 그건 바른 견해, 바른 사유가 잘못된 결과입니다. 시간이 나고 조금 무료하면 견디질 못해요. 아이들이 심심하면 낙서라도 하듯이 심심하면 신문이라도 들추고 텔레비전이라도 보고, 좌우간 뭔가 하고 맙니다. 가만히 있는 걸 제일 두려워하지요.
'Simple life' is a good word. How pleasant it would be if our lives were simple? We are all too busy, aren’t we? When I look into this, there are many cases when we choose to flee into busyness for the fear of idleness. Perhaps it is the simple life that you are most afraid of. Why did you become frightened at the prospect of idle time? That is the result of having incorrect Right View, and Right Thought. You can’t stand the boredom when you become idle. Just like the children grafting out of boredom, you will watch the TV, or read the newspapers, or do something – anything. You are most afraid of staying still.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22
그러면서 과연 여러분이 불자이고 불교인이라고 얘기할 수 있을까요? 불교에서 뭘 가르치던가 생각해 보십시오. ‘나 어디 가서 참선 배운다’ 하고 말은 많이들 하는데, 시간이 조금만 나면 감당을 못 해서 바깥으로 바깥으로 마음을 계속 씁니다. 그러면 심플 라이프는커녕 살생과 투도의 구조에 일조할 수밖에 없습니다.
Can you truly call yourselves Buddhist and the follower of Buddha’s teachings while being like that? Think about what Buddhism teaches you. I hear a lot of people saying, 'I am now learning mindfulness somewhere,' yet if you have even a little time, you cannot stop yourselves from letting the mind wander out and outwards. In such a setting, you are not attaining the simple life, but rather will become the part accomplice of society which promotes the evils of killing and stealing.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23
그리고 다음으로 불사음不邪淫을 봅시다. 이 계는 재가자나 출가자 공히 해당되지만, 그 양쪽에 대해서 주문이 좀 다릅니다. 재가자는 가정을 이루고, 가정은 부부 관계가 중심이니까 성생활이 출가자처럼 전적으로 배제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불사음을 ‘이건 욕망이야, 본능이야’ 하고 넘어갈 문제로 보면 안 됩니다.
Let us look at the ‘abstention from sexual misconduct’. This precept applies both to the ordained monk or a lay Buddhist, but there is a different expectation placed upon each party. For a layman, a family is built upon a connection between a husband and a wife, so sexual need cannot be ignored outright as it is for the monks. However, this does not mean abstention from sexual misconduct can be dismissed on the premise of ‘this is human desire, a natural instinct.’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24
소위 음양이 합하는 데 어떤 규칙이 있습니다. 사바세계가 물질적으로든 정신적으로든 음양이 조화를 이루어서 구성되는 것은 기본 질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기에는 대단히 중요한 규칙이 있습니다. 삿된 음행은 하지 않도록 엄중한 규칙이 확립되어 있습니다. 그것이 무너지면 이 사바세계의 질서는 송두리째 무너집니다. 그만큼 불사음은 이 질서의 중심축입니다. 따라서 이 불사음계를 가볍게 넘기지 말고 깊은 의미가 있다는 것으로 천착해 두기 바랍니다. 여기 오신 분들은 다 이 사회의 모범이 될 만큼 계가 반듯한 분들이라 생각되어 더 긴 이야기는 하지 않겠습니다.
There is a rule to yin and yang becoming one. This world, in which we must endure, has a basic rule where yin and yang existing in harmony, whether physically or spiritually. Therefore, there is a very important rule here. That is not to conduct sexual misdeeds. If this rule was to be broken, then the rule of the world that we must endure becomes shaken at the foundation. Thus, the abstention from sexual misconduct is a crucial rule in this world. So, please remember that abstention from sexual misconduct is not something to be overlooked. I am certain that all attendees are examples of society when it comes to this precept, so I will not dally on this topic any further.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25
다음이 이제 불망어不妄語입니다. 불망어는 팔정도의 ‘바른 말’ 항목이 따로 있어서 강조되고 있으니까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는 아까 제가 간단히 강조한 바 있습니다. 오늘 이 시대는요, 어떻게 보면 언어 공해의 시대이기도 합니다. 공해, 공해 하지만 언어 공해가 실로 심각합니다. 현대의 가장 특징적 공해는 언어 오염일 것입니다.
Now we will move on to the ‘abstention from falsehood (不妄語)’. The abstention from falsehood also has a separate area devoted under ‘Right Speech’ of Noble Eightfold Path, indicating its utmost importance. I have already mentioned its importance briefly. Today’s age is also an age of corrupted language. We talk of pollution, but language pollution is really serious. It is a corruption indicative of the modern times.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26
말 자체가 오염된 것은 물론, 말에 의한 오염과 오염화가 제도화되어 있다 이 말입니다. 말에 의한 오염은 마치 이 사회의 기본 축이 되어 버린 꼴입니다. 언어를 통한 오염은 너무 교묘하고 구조적이고 대대적이어서 미처 느끼지 어렵습니다. 도적도 큰 도적은 도적이 아니거든요. 언어에 의한 오염 중에 이데올로기나 사상이라는 형태의 오염은 특히 이 시대에 심각합니다. 불교 용어로 하면 희론戱論이지요. 언어 장난질이 학문이니 이념이니 사상이니 가치관이니 하는 거창한 라벨을 달고 포장해서 나오는 통에 오계에서 강조해온 정말 중요한 기본 가치가 소리도 없이 그냥 무시당하고 외면당하고 감춰져 버립니다. 여기에 근본 문제가 있습니다.
If we say language is polluted, it means pollution by language has become institutionalised. It is as if pollution by words has become the basic axis of this society. Pollution through language is too insidious, structural and affects so broadly, it is difficult to feel. It is the same logic where great thief is no longer a thief. Of the language pollution, the pollution in the form of ideology is especially serious in this age. In terms of Buddhism, it is a theory playing with theory (戱論). By playing with the words, everything becomes packaged with great labels such as academic, ideology, thoughts, and value, while the basic values stressed by the Five Precept is simply ignored and hidden. This is the fundamental problem here.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27
여기에 종교마저도 큰 몫을 거들고 있어서 부끄럽기도 합니다. 아마 그 일차적 책임은 소위 정신세계를 사는 사람들이 져야 할 것입니다. 오죽 변변찮아서 제 구실을 못 하니까, 속인들이 어쭙잖은 희론을 가지고 세상을 그렇게 대대적으로 속이는 것 아닌가, 얼마나 진리가 진리답지 못 하게 되어 버렸으면 진리가 아닌 것들이 저렇게 날갯짓을 칠 수 있단 말인가, 우리 입장에서는 그렇게 자책합니다.
I am also embarrassed at how even the religion is helping a big part in this phenomenon. Perhaps that primary responsibility should fall on the so-called spiritual leaders. It is our deficiency, which leads to the laypeople creating a whole-scale scam to trick the world with a framework of little spirituality. How lacking the truth must be for these falsities to be so spread across the world? We often fault ourselves with such thoughts.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28
언어 공해의 가장 심각한 증상은 사람들이 아예 진리를 찾지 않게 되어 버렸다는 겁니다. ‘진실 지키고 어떻게 살아? 손해야.’ 이렇게까지 되어 버렸지요. 바로 그 서슬에 정말 중요한 것들이 그냥 통째로 다 폐기되고 있습니다. 오늘날 불망어가 왜 중요한가를 깊이 되돌아보지 않을 수 없는 이유입니다.
The most serious symptom of language pollution is that people are no longer seeking for the truth at all. 'How can I keep to the truth and live? It would be costly.‘ The very things that are so important are discarded under that logic. And that is why the abstention from falsehood is important in present day.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29
그 다음이 불음주不飮酒이지요. 오계 중에도 그 앞의 것들은 구계舊戒라 하고, 이 불음주계는 신계新戒라고 하여 구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구계는 불교가 나오기 전부터 내려와서 사람들이 종파의 차이를 불문하고 다 지켜온 것인데, 불음주계만은 불교에서 처음으로 첨가한 것이므로 신계라 부른 겁니다. 그만큼 불교에서 불음주계를 강조하는 겁니다.
The next is the abstention from intoxication (不飮酒). Amongst the Five Precepts, the first four are often called the old precepts (舊戒), while the abstention from intoxication is known as the new precepts (新戒). If the old precepts were a set of values that people looked to obey regardless of their denomination, abstention from intoxication was introduced first by Buddhism. As such, abstention from intoxication is one of the strong emphasising points of Buddhism.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30
왜 불음주, ‘취하지 말라’ 하셨을까? 오늘날 이 시점에서 여러분은 부처님 지혜에 새삼 무릎을 칠 것입니다. 술뿐 아니라 마약이라든가 인간을 중독시키는 것들이 얼마나 널리 만연되고 있는지는 여러분이 다 목도하고 있으니까, 그리고 자녀들 키우면서 전전긍긍하니까 불음주가 얼마나 부처님의 지혜로운 통찰이었는지는 알고도 남음이 있을 겁니다.
So why the abstention from intoxication? From the modern perspective, you would be surprised at the Buddha’s wisdom. For we are all witnesses to the widespread abuse of so many intoxicants affecting humanity – not only alcohol, but also drugs. As parents, you’d be worried for the children falling wayward under these intoxicants, and it helps you understand how the Buddha was wise in calling for abstention from intoxication.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31
‘불음주를 지키겠다’는 말의 본래 의미는 ‘곡주나 과주를 마시지 않겠다’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방일放逸의 터가 되는, 또는 방일을 야기하는 곡주나 과주를 마시지 않겠다’는 뜻입니다. 그 당시에는 정신을 흐리게 하고 방일하게 하는 것이 곡주와 과주가 전부였지만 요즘은 거기에 그치지 않습니다. 많은 것들이 새로 첨가되었습니다. 그래서 단순하게 술을 마시지 않는다고 해서 ‘불음주계를 지키고 있다’고 자부할 수 없는 형편이 되었습니다. 인간의 정신을 흐리게 하는 대표적인 것이 마약이고, 그 외에도 텔레비전, 게임, 그리고 각종 중독 유발 상품들이 즐비합니다. 이런 것들이 우리 생활을 통째로 침범해오고 있습니다. 그 때문에 방일해지는 것이거든요.
Originally, to say ‘the abstention from intoxication’ has meant ‘no drinking of fermented grain or fruit wines’. This was to say, not to intake fermented beverages which would cause or encourage heedlessness (放逸). This was because fermented beverages were the only things that clouded the minds and caused heedlessness in the past. But this is no longer the case in the present day. Many new intoxicants have been found. So, we can no longer boast of abstaining from intoxication by being teetotal. Narcotic drugs are one of the key substances that affects human mind, and outside of that there are television, games and many other intoxicating products. These are all invading our lives, and lead us down the path of heedlessness.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

Paragraph 9.4.32
방일하다는 말은 자기 마음 챙기기를 놓치는 것입니다. 불방일不放逸appamāda은 자기 ‘마음 챙기기’를 잠시도 쉬지 않는 것, 즉 멍하니 있지 않고 항상 정신을 또렷하게 챙기고 있는 것입니다. 부처님이 열반하시면서 우리들에게 ‘제행諸行은 무상無常하다, 방일하지 말라’1고 하셨습니다. 부처님 최후의 말씀이지요. 그 방일을 돕는 게 술을 비롯한 취하게 하는 것들이므로 이들 방일을 조장하는 요소들을 멀리할 때 불음주계를 지키는 것이 됩니다. 음으로 양으로 나를 방일하도록 조장하는 유혹들에 대해서 정신을 또렷이 차리고 ‘요놈이 바로 방일을 조장하는 원인이다’ 하는 경계의 눈초리를 잠시도 늦추지 않도록 노력할 때, 그때 우리는 진정한 불방일계를 지키는 것입니다. 오계의 내용과 범위를 오늘날의 맥락에서 이렇게 되짚어 보았습니다.
Heedfulness is to lose hold of your mind. Appamāda (不放逸) is to be diligent in ‘keeping hold of your mind’, that is to say, to conscientious and heedful of mind. Buddha’s message as he attained enlightenment was ‘All that is phenomenal (諸行) are impermanent (無常), Strive on with heedfulness’. It was the final words of the Buddha. Alcohol and other intoxicants encourage heedlessness, so one can only keep to this precept by keeping distance from these intoxicants. Only when we strive to be forever vigilant against the temptations towards heedlessness, and recognise ‘these are what causes heedlessness’, only then will we be able to attain abstention from intoxicants. And thus, we have covered the details of Five Precepts and their range within the context of modern times.
  • 번역 Translation
  • 토론 Discussion

  1. (text)
  2. (text)